올해 첫 무등산 정상부 개방 행사가 9일 열려 탐방객들이 인왕봉 전망대로 향하고 있다. 무등산 정상은 1966년 군부대가 주둔한 후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되고 있으며 2011년 첫 개방을 시작으로 2023년까지 총 26회 개방이 이뤄졌다./김애리 기자·조영권 인턴기자
“가을 하늘 아래 무등산 정상에서 보는 풍경은 그야말로 절경이네요.”
추석 연휴 마지막 날인 9일 무등산 정상 중 하나인 지왕봉이 올해 첫 개방돼 이른 오전부터 등산객들이 줄을 이었다.
무등산 정상은 천왕·지왕·인왕봉 등 세 개의 봉우리로 구성돼 있으며, 광주시가 이날 공군 제1미사일방어여단의 협조를 받아 개방을
황금성동영상 추진했다. 인왕봉은 2023년부터 상시 개방 중이다.
시는 국가 AI컴퓨팅센터의 광주 유치와 2026년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재인증을 시민들과 함께 기원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
올해 개방 코스는 서석대 주상절리에서 군부대 후문을 지나 지왕봉을 거쳐 정문으로 내려오는 약 3㎞ 구간이다.
구제역관련주 앞서 일찌감치 서석대까지 오른 이들은 군 장병들의 안내에 따라 부대 후문에서 신분증을 확인한 뒤 탐방로를 따라 하나둘 지왕봉으로 향했다.
산길을 오르는 이들의 이마와 뺨에는 연신 땀이 흐르고 숨은 가빠졌으나 얼굴에는 기대에 찬 미소가 가득했다.
10여분 뒤 해발 1천175m 높이의 지왕봉 전망대에 도착한 시민들은 광주
주식매매방법 전역을 한눈에 내려다보며 감탄을 쏟아냈다.
시원하게 불어오는 바람을 맞으며 광주의 전경을 눈에 담은 등산객들은 가족·연인·지인들과 함께 기념사진을 찍으며 추억을 남겼다.
일부는 삼각대를 펼쳐 광주 곳곳을 배경 삼아 사진을 촬영하기도 했다.
사진 촬영 후에는 주변 풍경을 감상하며 각자 준비한 도시락을 나눠
CJ프레시웨이 주식 먹는 등 여유로운 시간을 보냈다.
가족과 함께 온 우종희(21)씨는 “정상 경관이 너무 아름다워 올라올 때 힘들었던 것들이 아무것도 아니게 느껴진다”며 “연휴 마지막 날 가족과 기억에 남을 시간을 보내 행복하다”고 웃었다.
2년 전 개방에 이어 다시 무등산을 찾은 최준석(26)씨는 “그때보다 날씨도 맑고 바람도 선선해
낙폭과대우량주 더 좋았다”며 “군부대라 모든 각도에서 사진을 찍을 순 없었지만, 무등산의 절경을 담기엔 충분했다”고 전했다.
지왕봉에 오르기 전 공터에는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홍보 부스가 운영돼 키링, 손수건 등 굿즈가 시민들에게 배부됐다.
또 국가 AI컴퓨팅센터 광주유치위원회와 광주 지역 대학 관계자, 시민 등이 함께한 ‘유치 기원’ 기념사진 촬영 퍼포먼스도 진행됐다.
광주시 관계자는 “많은 시민에게 무등산 정상의 아름다움을 보여 줄 수 있어서 뜻깊다”며 “앞으로도 국가 AI컴퓨팅센터의 광주 유치와 세계지질공원 재인증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무등산 정상 개방은 지난 2011년을 시작으로 2023년까지 총 26회 이뤄졌으며 누적 탐방객 수는 약 48만7천명에 달한다.
/서형우 수습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