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말해 분리 발주 그냥 노트북은 노트북만 사고 유지관리 업체는 유지 관리 업체에만 맡기고 따로 분리 발주를 한 거거든요. 그렇게 한 거를 보니까 노트북 단가가 한 대당 64만 원이 차이가 났다 그래서 제모의투자대회 주도(교육청)도 그렇게 할 필요성이 있다라고 보여집니다. "
이 같은 주장에 제주도교육청은 반박 입장을 내놨습니다.
올해 취약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노트북을 지급하는 '아우름정보사업'에서 분리 발주 방식을 시범 적용했지만 노트북 한 대당 구매가격은 127만 원으로 기존 통합 발주 방식과 큰 차이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유지보수 비용이 제외된 순수 노트북 단가임에도 불구하고 가격 인하 효과가 미미했다는 설명입니다.
[전화녹취 제주도교육청 관계자 ]
"우리도 MAS(분리발주)는 아니지만 (통합 발주)했을 때와 노트북 단가는 5만원, 5천 원 차이로 똑같이 낙찰됐습니다. "
하지만 제주도의회는 이 같은 해명에 대해 재반박하고 있습니다.
시범 분리발주 물량이 고작 70대에 불과해 입찰 경쟁을 유도하기 어려웠다는 겁니다.
매년 7천 대에 육박하는 대규모 발주가 이뤄지는 드림노트북 사업과는 비교가 불가능하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강경문 / 제주도의원 ]
" 올해 70대를 한번 (분리 발주) 시범 사업을 해봤다고 하는데 그거는 70대에 불과한 거고, 지금 교육청에서 (구매)하는 게 약 7천 대 정도가 되는데 그 중에 1% 갖고는 저는 실험이 아니라고 봅니다. "
디지털 교육환경 구축이라는 명분 아래 추진되는 드림노트북 사업. 그러나 예산 집행의 효율성과 계약 방식의 개선 여부는 여전히 논란의 중심에 서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