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식 복어탕은 붉은 양념을 넣고 즉석에서 팔팔 끓여내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에서 복어 요리로 유명한 지역을 꼽으라면 보통 부산 등 경남 해안 도시를 꼽는다. 그러나 금강 하구 일대 역시 예로부터 복어 요리로 유명하다. 전북 군산이 대표적이다. 산란을 위해 강물을 거슬러 올라오는 습성에 유일하게 민물에서도 잡히는 ‘황복’의 주요 산지였기 때문이다. 황복은 한강·임진강과 금강 기수역에서 서식했는데 강물을 역행하는 거리가 그리 길지 않아 하구 지역에서 주로 잡혔다고 한다. 금강하구둑이 지어진 이후 현재는 한강·임진강 기수역의 특산품이 돼버렸지만,
오션파라다이스다운로드 오랜 기간 복 산지였던 군산에서는 현재도 복집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일본 복어 손질·조리법의 영향을 받아 맑은탕(지리)이 지배적인 경남과 달리 금강 하구 지역은 빨갛게 끓인 매운탕이 주류다. 복어탕으로 주로 불리고 아귀탕과 함께 일반 음식점이나 횟집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일부 복어 전문점에서는 매운탕, 맑은탕 모두 주문할 수 있지만
황금성게임다운로드 오직 매운탕만 취급하는 음식점이 많다. 메뉴판에 부연설명 없이 복어탕이라고만 적혀 있다면 십중팔구 고춧가루를 넣고 끓인 탕이다. 칼칼한 양념에도 가려지지 않는 진한 복어 국물의 맛이 진국이다. 미나리와 무를 잔뜩 넣어 진하면서도 시원해 해장국으로 제격이다. 황복이 귀해진 요즘에는 대부분 참복(자주복), 졸복 등 다른 복을 주로 사용한다.
모바일릴게임 군산 시내 음식점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작은 박대구이.
군산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박대를 빼놓을 수 없다. 현지에서는 발에 치일 정도로 흔하지만 타지에 가면 좀처럼 보기 힘든 생선이다. 그만큼 군산을 상징하는 먹거리라고 할 수 있다
검증완료릴게임 . 영어로 ‘tongue sole’, 즉 ‘혀 납서대’라고 불리는 점에서 드러나듯이 납작하고 지느러미가 거의 없이 길쭉한 모습이다. 친척뻘인 서대와 더불어 흔한 식용 어종 중 독특한 외모를 자랑한다.
군산은 산지인 서해를 접한 만큼 신선한 박대를 쉽게 접할 수 있지만 보통 반건조해서 먹는다. 비린내가 적어 말려도 불쾌한 냄새가 나지 않고
모바일릴게임 감칠맛은 배가 되기 때문이다. 잘 건조한 군산 박대는 금빛이 돈다며 ‘황금 박대’로 불리기도 했다. 육질이 쫄깃하고 잔가시가 없어 먹을 때 번거롭지 않아 구이, 찜, 조림 등 다양한 요리의 재료로 애용된다. 큰 박대는 주찬으로 먹기에 손색이 없는 진미지만 현지 음식점에서는 작은 박대구이를 밑반찬으로 내는 경우도 흔하다.
군산=글·사진 이한호 기자 han@hankookilbo.com 기자 admin@no1reelsite.com